본문 바로가기

도시재생

(3)
[부산]폐공장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 F1963 부산의 대표적인 랜드마크하면 “광안대교”를 떠올리게 됩니다. 수많은 자동차 광고들 속에서 서로 약속이나 한 듯 마린시티의 마천루를 배경으로 광안대교 위에서 질주하는 모습을 많이 보셨을텐데요. 심지어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블랙팬서”도 이 광안대교 위를 배경으로 화려한 영상을 보여 주었습니다. 부산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죠. 광안대교는 현수교로서 수많은 강선(鋼線)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이 교량의 주탑과 연결되어 도로를 지지하고 있는 구조물로서 도쿄의 레인보우 브릿지처럼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어우러진 도시를 대표하는 주요 기반시설이자 랜드마크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광안대교를 지지하고 있는 강선을 만든 회사는 ‘고려제강’이라는 곳으로서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의 수많은 현수교의 강선을 제조하는 기..
[도시재생]도시재생에 관하여 #2 오늘은 도시재생 2번째 이야기로 도시재생을 시행하기 위한 계획 수립과 관련된 용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께요. 도시재생의 정의와 개론적 이야기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도시재생]도시재생에 관하여 #1 도시재생의 계획 수립은 추진전략을 수립하는 “도시재생전략계획”과 실행계획에 해당하는 “도시재생활성화계획”으로 구분됩니다. 용어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도시재생전략계획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을 고려하여 도시 전체 또는 일부 지역, 필요한 경우 둘 이상의 도시에 대하여 도시재생과 관련한 각종 계획, 사업, 프로그램, 유형·무형의 지역자산 등을 조사·발굴하고,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지정하는 등 도시재생 추진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계획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도시재생전략계획에 부합하도록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
[도시재생]도시재생에 관하여 #1 재개발, 재건축의 시대에서 이제는 도시재생으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에 따르면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 · 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 · 사회적 · 물리적 · 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도시재생은 도시커뮤니티 유지 및 활성화 과정적 활동으로써 이해관계자간의 합의형성 등 의사결정시스템을 중시하며, 기존 거주자의 지속적인 생활여건 확보의 물리적인 측면, 사회·문화적 기능회복의 사회적 측면, 도시경제 회복의 경제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통합적 접근방식의 정비 개념이다. 선진국에서는 도시재생이 실천적인 사업과 연계되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