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건축연구/실무노트

[업종코드]업종코드 확인방법은? feat. 한국표준산업분류

 

지난 포스팅에서 “산업입지정보시스템”을 통한 산업단지에 입주할 수 있는 업종 확인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링크 참조
[산업단지]산업단지에 입주할 수 있는 업종은?feat.산업입지정보시스템

 

산업단지로의 입주를 희망하는 경우 신설 또는 이전의 방법으로 입주하거나, 요즘과 같이 지식산업을 통한 창업이 활발한 시기에 정보 공유와 집적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미국 실리콘밸리와 같은...) 산업단지에 입주할 경우 입주 업종을 먼저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이때 현재 영위하고 있는 업종이 어떻게 분류되며, 또는 새로 창업할 업종을 어떻게 선택할 것인지를 검토를 해 볼 필요가 있겠지요.

 

바로 “한국표준산업분류”를 통한 업종코드 확인 방법이 그것입니다.

 

표준산업분류라 함은...


표준산업분류란 산업 주체들이 모든 산업활동을 그 성질에 따라 유형화하고 이를 부호화한 것으로 산업활동에 관련된 각종 통계를 작성하는데 통일적으로 적용되는 기준을 말한다. 또 금융·세제상의 지원이나 여신관리 등 정부정책을 수립·시행하는 과정에서 일관성있게 적용할 수 있는 산업의 범위 및 대상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출처_매경시사용어사전 내용 일부 발췌


산업단지를 기준으로 새로운 공장, 물류창고 등을 신설하거나 기존 공장의 이전 사업, 새로운 지식 기반산업을 영위하기 위한 창업 등 업종코드 확인을 잘 확인한 후 입주 가능한 업종인지 확인해봐야 할텐데요.

 

통계청에서 운영하는 “통계분류포털”에 접속한 후 “한국표준산업분류(KSIC)”를 통해서 확인가능합니다.

 

 

통계분류포털 메인 화면

 

 

위 메인 화면 중앙에 [한국표준산업분류] → [자료실] → [최신개정]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표]에 들어가서 엑셀로 된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영문판도 같이 제공)

 

 

[자료실] → [최신개정]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표] 선택

 

 

홈페이지 상에서 바로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나 확인한 업종 코드에 대한 세부 해설 확인은 좌측 [검색] 카테고리의 [분류검색]이나 [분류내용보기(해설서)]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분류검색]을 통한 해당 업종 설명 확인
[분류내용보기(해설서)]를 통한 해당 업종 설명 확인

 

 

한편 기존 산업체를 이전하기 위해 입주계약이나 새로운 공장 등록 등을 해야 할 경우에 과거 업종코드와 개정된 업종코드를 비교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연계표] →[10차 개정(2017년) 연계표] 선택

 

이때는 [연계표] → [10차 개정(2017년) 연계표]에 들어가서 엑셀로 된 “신구 연계표”를 다운로드해서 개정 여부 확인을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신 · 구 연계표
구 · 신 연계표

 

 

2020년 4월 현재 기준으로는 최종 표준산업분류는 2017년에 개정된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표”가 최종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한 지금 입주 업종 제한을 통한 경직된 운용방식에서 벗어난 네거티브 규제 방식 적용과 스타트업 지원 확대 및 다양한 산업의 융복합에 따른 표준산업분류 개편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