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부동산 시세에 대해서 공신력있는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시세는 실제 거래한 매매가, 즉 실거래가 조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아파트의 매매가나 전세가 뿐만 아니라 단독주택, 오피스텔, 토지 등 다양한 부동산 카테고리의 실거래 내역을 기간별 조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접속한 후 원하는 해당 부동산 카테고리에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포털사이트 검색을 통해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접속합니다.
아파트의 경우 해당 메뉴로 들어가 확인하고자 하는 기준년도와 주소지 및 단지명을 입력한 후 월별 면적에 따른 실거래 매매가와 전세가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는 우측의 지도 화면에서 알고자 하는 단지에 클릭하시게 되면 바로 확인도 가능합니다.
토지의 실거래 내역 확인도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됩니다.
지목, 용도지역 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우측 “전산공부 보기”를 통해 간단한 도시계획(지역지구 등 지정 여부)에 대한 사항도 확인하실 수 있어요.
또한 이런 부동산 종류별로 시세 변화에 대해 한번에 알고 싶은 경우에는 카테고리 중 “실거래가 자료제공”으로 들어가셔서 확인 가능합니다.
조건별 검색에서 계약 일자는 1년 이내로 설정하고 “실거래가 구분”에선 원하는 부동산의 종류를 설정하고 나머지 간략한 주소 등을 입력합니다.
입력이 완료되었으면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서 엑셀 파일로 내려받기를 합니다.
연도별로 설정해서 다운로드를 하면 해마다 시세의 변동 추이도 확인 가능하며 지목과 용도지역별로 구분해서 검토하기 쉽도록 엑셀에서 [데이터] → [필터] 기능을 설정하면 개인적으로나 실무에서도 더 유용하게 쓰이겠죠.
특히 이러한 자료는 용도지역에 대한 규제가 부동산 가격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 수 있는 데이터라서 관련 공부하시거나 논문 등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도움되는 정보가 되었길 바라며 다음 포스팅 또 준비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도시건축연구 > 실무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종코드]업종코드 확인방법은? feat. 한국표준산업분류 (0) | 2020.04.11 |
---|---|
[산업단지]산업단지에 입주할 수 있는 업종은?feat.산업입지정보시스템 (0) | 2020.04.06 |
[토지이용]내 땅의 도시계획 정보 확인 방법! feat.도시계획정보서비스(UPIS) (2) | 2020.04.01 |
[토지이용]내가 지금 서있는 땅의 정보는? feat.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0) | 2020.03.23 |
[항공사진]내가 살고 있는 땅의 과거 모습은? feat.국토정보플랫폼 (0) | 2020.03.21 |